명리약언 – 간질병법

45. 질병법을 보다

옛날에는 오행으로 나누어져 있어 사람의 질병을 논해도 도리에 맞지 않는 것이 없으나 인체의 장부경락은 오행이 모두 갖추어져 있고 인명주 가운데 오행이 모두 갖추어져 있는 것은 아니며 반드시 일행에서 그 병을 끊어야 하며 또한 실행할 수 없다.일주와 사용하는 구도를 보아 낭건 중화 평순 모두 병명이 없다.또한 회구, 논박, 또 심술궂게 모두 병의 목숨이 있다.

옛날에는 오행으로 분류하고 사람의 병을 논하였으나 이치상으로는 적당하지 않은 것은 아니지만, 인간의 몸엔 장부와 경락 등 오행을 모두 갖추고 있는 것보다 사람의 사주와 운에는 오행이 반드시 모두 갖을 수는 없다. 그래서 한 오류 행으로 그 병을 판단하는 것은 또 모두 못 맞출 것이다.그래서 꼭 한바퀴와 그 쓰는 격국을 보고그것이 밝은 건전하거나 중화되거나 핑순거나 하면, 모두 병 없는 살아 가는 생명이 어두운 취약하거나 뒤섞이고 현기증이 나고 거칠고 있으면 모두 병의 한 목숨이다.또 그 신리의 기세가 너무 지나치거나 부족하거나 하면, 사주 상의 오행과 운에서 온 오행을 맞추어 논하지 않으면 안 된다.예를 들면 나무가 없을 때는, 생목, 목생, 목생 등 다양한 신들에 나무가 병이 될 것인지를 추론할 수 있는 것이다.또 간지를 인체의 각 부분, 즉 머리, 눈, 손발 등에 할당은 모두 당연히 그 뜻으로 연결시켜야 한다.만약 반드시 모든 병을 그것에 비해서 논의해야 한다면 명의가 말한 것이 잘못 가지 않을 수 없으므로 모르는 사이에 의사서 수십, 수백종에서 꺼내고 열거해야 목숨서에 되지 않을까 걱정할 뿐이다.

옛날에는 오행으로 분류하여 사람의 병을 논하였는데, 이치상 적당하지 않은 것은 아니지만 인간의 신체에는 장부와 경락 등 오행을 모두 갖추고 있는 데 비해 사람의 사주나 운에는 오행이 반드시 다 갖추어진다고는 할 수 없다. 그러니까 어떤 오행으로 그 병을 판단하는 것은 또 다 맞출 수 없는 것이다.그러니까 반드시 한 바퀴와 그 쓰여지는 격국을 보고 그것이 밝고 건전하거나 중화되거나 평순하면 모두 병 없이 살아가는 생명이 어둡고 약하거나 뒤섞여 어지럽고 거칠면 다 병이 있는 생명이다.또한 그 신리의 기세가 너무 지나치거나 부족하면 사주 내에 있는 오행과 운에서 오는 오행을 합쳐서 논해야 한다.예를 들어 나무가 없을 때는 생목, 목생, 목생 등 여러 신들로부터 나무가 병에 걸리는지 추론할 수 있는 것이다.또한 간지를 인체의 각 부분, 즉 머리, 눈, 손발 등에 할당하는 것은 모두 당연히 그 의미로 연결시켜야 한다.만약 반드시 모든 질병을 그에 비해 논의해야 한다면 명의가 논한 것이 오행이 아닐 수 없으므로 모르는 사이에 의서 수십, 수백 종에서 꺼내 열거해야 명서가 되지 않을까 걱정할 뿐이다.